특히 체중 조절과 운동은 type II 당뇨병의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체중 조절, 운동은 몸의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켜 혈당조절을 돕는다.
촉진하는 설폰요소제(sulfonylurea), 주로 간에서의 포도당신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혈당강하효과를 나타내는 비구아나이드계(metformin), 장에서 당의 소화를 저해하는 alpha-glucosidase inhibitor (acarbose, voglibos), 지방조직이나 근육 등 말초조직에서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을 높여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thiazolidinediones, 비 설폰요소제 인슐린 분비촉진제로서 칼륨 의존성 ATP통로 차단으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Repaglitidine 등이 있다.
이들 약의 주요 부작용으로는 용량과 관련된 비정상적인 저혈당의 발생을 들 수 있다. 그러나 metformin(글루코파지)은 인슐린에 대한 인체의 감수성을 증가시키고 저혈당을 일으키지 않고 혈당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슐린 주사는 type I 당뇨병의 주된 치료법이다. 인슐린은 또한 체중 조절, 운동, 식이요법, 경구혈당강하제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type II 당뇨병환자에게 역시 중요하다. 현재는 인슐린을 투여하는 다양한 방법들(인슐린 펜, 펌프, 주사)이 개발되어서, 과거보다 훨씬 더 쉽게 투여할 수 있게 되었다.
인슐린의 종류에는 돼지, 소에서 만들어진 것과 합성된 사람 인슐린이 있다. 합성된 사람 인슐린은 돼지나 소의 것에 비해 알러지 반응이 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인슐린은 작용 지속 시간에 따라 속효성(short- acting), 중간형(intermediate-acting), 지속형(long-acting) 인슐린으로 나눌 수 있다.
인슐린 사용이 필요한 사람으로는 type I 당뇨병 및 영양실조형 당뇨병, 당뇨병성 혼수, 임신 중인 여성의 당뇨, 수술이나 감염증 등의 급성질환이 있는 당뇨 환자, 심각한 당뇨 합병증이 있는 환자, 식사요법, 운동요법, 경구용혈당강하제로 효과가 없는 환자 등을 들 수 있다.